사이트 내 전체검색

충청남도한의사회
한의사회 소식
항상 노력하는 자세로 한의사회의 규범이 되겠습니다
한의학 이슈 “한의학, 통일 이후 남북 잇는 가교 역할 할 것”

페이지 정보

본문

‘북한 고려의학과 한의학의 이해와 통합전략’ 세미나

 

ba0442a91bcd0b184d58dea82299351e_1493865145_8911.jpg
 

 

[한의신문=윤영혜 기자]남북 전통의학에 대한 상호 이해를 넓히고 통일 시대 의료통합을 위한 세미나가 열렸다.

 

통일부 인가 사단법인 하나반도의료연합 주최로 지난달 29일 명성교회에서 열린 ‘북한 고려의학과 한의학의 이해와 통합전략’ 세미나는 1부에서는 김 모 탈북 한의사가 ‘한의학과 고려의학의 상호 이해’에 대해, 2부에서는 Paul CCV 대표(흉부외과 의사)가 ‘북에서 본 고려의학 그리고 남북의료 통합을 위해 준비할 것’에 이어 김지호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 홍보이사가 ‘한의학, 고려의학, 의학의 통합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청진의대 고려의학부를 졸업한 김 모 한의사는 ‘한의학과 고려의학의 상호 이해’에서 △한의학과 고려의학의 상호 이해의 필요성 △한의학과 고려의학의 차이 △북한과 보건의료 체계 △보건의료 체계를 통해 본 북한사회의 변화 △통일 후 북한의료의 안정과 정상화를 위한 제언에 대해 강연했다.

 

한의학과 고려의학의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차이’에 대해서는 “북한은 의료에 대해 국가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고 있다”고 했다. 1945년 해방 이후 1946년 3월 ‘20개조 정강’을 발표한 뒤 개인이 아닌 국가가 국민 건강을 직접 관리하는 사회주의 의료정책을 도입했다는 설명이다.

 

‘임상에서의 차이’와 관련해서는 “남한에서는 한의와 양의가 정교하게 갈라져 있지만 북한은 동서 협진이 끈끈하다보니 고려의사에게도 양의사의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다만 양방은 검사나 수치에만 익숙하기 때문에 양의사에게 고려의사의 자격은 주지 않는다”며 “양방으로 진단하고 치료는 한의로 한다. 치료의 80%는 고려의학으로 해결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모 한의사의 경우도 졸업 후 1년간 양의사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고 했다.

 

북한 사회의 체제 변동과 관련한 의료 시스템 변화에 대해서는 “북한도 자본주의화 되면서 무상의료에서 유상의료로 서서히 변화하는 단계에 있다”며 “국가병원에서 개인의원으로 옮겨가면서 주민들도 개별적으로 의료비를 내고 의사에게 진료를 받다보니 의료서비스에 대한 질적 욕구도 높아지는 등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상호 이해를 위한 향후 발전 방안과 관련해 “북한에 대한 지속적인 의료 지원과 통일 한의학 연구 센터 등 연구 포럼과 조직이나 단체들을 통해 통일 후를 함께 모색해야 한다”며 “한의학이 서로 장단을 알고 보완한다면 남북의 가교 역할을 해 중국처럼 개똥 쑥에서 말라리야 치료제 성분을 찾아내는 날이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의학, 시혜 아닌 호혜적 이익 창출 가능”

김지호 한의협 홍보이사는 ‘한의학을 활용한 남북교류 협력 활성화 제언’ 주제발표에서 “한의학은 남북이 교류하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 상호 호혜적 이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며 “남측이 북측에 일방적으로 퍼주는 시혜가 아닌 함께할 수 있는 한의학으로 통일 이후 유라시아의학센터를 통해 중앙아시를 발판으로 유럽연합까지 진출하는 구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라시아의학센터는 지난 2014년 6월 보건복지부가 ‘한의약 해외거점구축 지원 사업’을 위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오케안스키 대로에 세운 한의학 진료·운영 지원 기관이다. 남한·북한·러시아의 3각 협력으로 한의학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추진됐다. 남·북의 통일기반을 조성하는 한편 중의학 시장 확대에 대응한 한의학 세계화의 길을 모색하는 것도 목표다.

 

한의협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소재 태평양국립의과대학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센터가 설립될 때부터 운영을 맡아왔다. 정식 운영되기 시작한 이래 △한의학 교육 프로그램 운영 △학술대회 개최 △한의학 교재 개발 △홍보관 구축 △러시아 한의사 진출 등의 사업이 추진됐다.

 

또 김 이사는 북한의 한약재 활용 방안과 관련해 “생물유전자원 보유국의 주권을 인정하는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된 이후 시대에는 자원 부국이 더 유리해진다”고 했다. 예컨대 버드나무로 약재를 만든다면 지금까지는 제조 과정에 가치를 부여했지만 이제는 생물자원종 자체에 가치를 부여하는 시대가 온다는 것.

 

특히 남한이 쓰는 한약재중 500종중 50종 정도가 국산이고 나머지가 수입되는 상황에서 한국이 북에 자본을 투자해 값싼 인건비를 활용, 한약재를 심고 안정적으로 공급받는다면 남북이 둘 다 윈윈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 이사는 이어 “남한의 자본, 북한의 노동력, 러시아의 판로까지 합쳐진 통일 이후의 사업을 한의학이 이끌어가는 날이 오길 기대해 본다”고 덧붙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충청남도한의사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영성로 62, 3층 | 607-82-86917
T.041-563-0343 | F.0504-926-0022 | E. chakom@naver.com
Copyright © www.chakom.org All rights reserved.